본문 바로가기
조회 수 28 추천 수 0 댓글 0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구글 학술검색에서 "omega-3 supplements meta-analysis"로 검색한 19년부터의 결과를 참고했고

인용수가 적어도 7~80 이상인 논문만 추렸음. 논문 번호는 검색결과 순으로 나열했을 뿐이라 의미없음.

각 논문에 대해 자세히 참고하고 싶으면 영문명을 구글에 검색하면 됨. 요약은 이해를 돕기 위해 내가 달았음

 

 

1. 해양 오메가-3 보충 및 심혈관 질환: 127,477명의 참가자가 포함된 13건의 무작위 통제 시험에 대한 업데이트된 메타 분석(2020)

Marine omega‐3 supplementat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an updated meta‐analysis of 13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involving 127,477 participants

- 오메가-3 보충은 REDUCE-IT를 배제한 후에도 CHD 사망과 총 CHD, CVD 사망과 총 CVD의 위험을 낮춥니다.

- 위험 감소 효과는 오메가-3 용량과 선형적으로 관련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오메가-3 용량이 심혈관 결과에 미치는 영향 : 업데이트된 메타 분석 및 중재적 임상시험의 메타 회귀(2021)

Effect of Omega-3 Dosage on Cardiovascular Outcomes: An Updated Meta-Analysis and Meta-Regression of Interventional Trials

- 총 135,267명의 참가자가 포함된 총 40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 메타 분석과 메타 회귀 분석의 결합된 결과는 부정적인 CVD 결과, 특히 CHD 사건 및 MI의 예방에 EPA+DHA 섭취의 효과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제공합니다.

 

*CHD: 관상동맥 심장질환

*CVD: 심혈관 질환

*MI: 심근경색

 

 

3. 우울증에 대한 오메가-3 다중불포화지방산(PUFA)의 효능: 메타 분석(2019)

Efficacy of omega-3 PUFAs in depression: A meta-analysis

- 현재 근거는 ≤1g/d 용량에서 EPA ≥ 60%인 오메가-3 PUFA가 우울증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 순수 EPA 그룹과 EPA를 주요하게 사용한 그룹이 우울증 개선에 더 나은 효과 크기를 나타냈습니다.

 

*참고논문

주요 우울 장애 치료를 위한 항염증제의 효능 및 안전성: 무작위 통제 시험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 분석(2019)

Efficacy and safety of anti-inflammatory agents for the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 26개의 RCT에서 풀링한 전체 분석은 항염증제가 위약(플라시보)과 비교하여 우울 증상을 감소시켰다고 제안했습니다.

 

 

4. 오메가-3 지방산 보충 및 산화 스트레스 매개변수: 임상 시험의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2019)

 

Omega-3 fatty acids supplementation and oxidative stress parameter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linical trials

- 5,887건의 간행물 중 2,875명의 참가자가 포함된 39건의 임상시험이 메타 분석에 포함되었습니다.

- 오메가-3 지방산이 혈청 총 항산화 능력 (TAC)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음을 나타냅니다

 

 

5. 오메가-3 지방산이 심혈관 결과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2021)

Effect of omega-3 fatty acids on cardiovascular outcom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오메가-3 FA는 심혈관 사망률을 감소시키고 심혈관 결과를 개선했습니다.

- 심혈관 위험 감소는 EPA+DHA보다 EPA 단독 요법에서 더 두드러졌습니다.

- REDUCE-IT을 배제하고 고려하여도 EPA 단독요법은 대조군에 비해 MACE를 23% 감소시켰다.

 

*MACE: 주요 심혈관 부작용

 

 

6. 안구건조증 치료를 위한 오메가-3 지방산 보충의 효능 : 무작위 임상시험의 메타분석(2019)

Efficacy of Omega-3 Fatty Acid Supplementation for Treatment of Dry Eye Diseas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 336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17건의 무작위 임상시험이 포함되었습니다.

- 메타 분석은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가 안구 건조증 환자의 안구건조증 증상과 징후를 유의하게 개선한다는 증거를 제공합니다

 

 

7.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 환자의 염증성 바이오마커 및 지질 프로필에 대한 오메가-3 지방산 효과: 체계적인 검토 및 메타 분석(2019)

Omega-3 Fatty Acids Effects on Inflammatory Biomarkers and Lipid Profiles among Diabetic and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오메가-3 고도불포화 지방산은 당뇨병 및 심혈관 환자의 염증성 바이오마커 및 지질 프로필 개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이와 관련한 조사한 무작위 대조 시험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강력한 결론을 도출할 수 없습니다.

 

 

8.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오메가-3, 오메가-6 및 총 식이성 고도불포화 지방: 무작위 대조 시험의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2019)

Omega-3, omega-6, and total dietary polyunsaturated fat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sed controlled trials

제2형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오메가-3, 오메가-6 및 총 식이성 고도불포화 지방: 무작위 대조 시험의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

- 오메가-3/오메가-6 비율이 당뇨병이나 포도당 대사에 중요하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증거에 따르면 오메가-3, 오메가-6 또는 총 PUFA의 증가는 제2형 진성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에 거의 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요약하자면 심혈관계 질환에선 효과가 있고 당뇨에선 없다는듯

논문 3번의 오메가-3 항우울 효과는, 항염증이 항우울에 도움된다는 참고논문과 같이 보면 이해가 됨(참고논문도 인용수 높음)

인용 수만 보고 논문을 꼽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지지하는 논문들만 나왔음

효과 없다던 기사/유튜브들은 어그가 아니었나 싶은 생각도 든다

 

 

*이 글은 오메가3를 추천하는 글이 아님

*오메가3 섭취량과 생체이용률은 개인 간에 다를 수 있으므로 항상 이를 유의하여 섭취해야함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디터 업데이트+) GPT AI 기능을 포함하여 강력한 도구들을 사용해보세요 ⬆️ file 🍀플로버404 2024.04.16 1222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2024.04.14 1491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건강덕441 2024.04.01 818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2024.02.14 3089
183 전문정보 뇌 장애 및 노화에 대한 글루타티온 file 😀건강덕670 2024.04.14 323
182 전문정보 비타민 B 복합제 처방: 재평가 필요 😀건강덕970 2024.04.14 329
181 전문정보 비타민 섭취와 치주질환: 관찰 연구의 메타 분석 file 😀건강덕517 2024.04.14 307
180 전문정보 비타민 D가 풍부한 버섯과 비타민 D3가 건강한 노인의 인지 성능과 기분에 미치는 영향 file 😀건강덕051 2024.04.14 293
179 전문정보 성인의 만성 통증 질환 치료를 위한 비타민 D file 😀건강덕147 2024.04.14 327
178 전문정보 근골격계를 넘어서는 비타민 D의 비근골격계 이점 file 😀건강덕899 2024.04.14 330
177 전문정보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 요인인 비타민 D 결핍: 업데이트된 메타 분석 file 😀건강덕434 2024.04.14 353
176 전문정보 비타민 D 보충과 사망률의 연관성: 체계적 검토 및 메타 분석 file 😀건강덕824 2024.04.14 302
175 전문정보 비타민 D 비타민은 젊고 건강한 남성의 비타민 D 상태에 다르게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덕267 2024.04.14 339
174 전문정보 아스코르빈산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file 😀건강덕865 2024.04.14 332
173 전문정보 비타민 C는 중환자실 입원 기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메타 분석 file 😀건강덕536 2024.04.14 385
172 전문정보 비타민 C 강화: 캡슐화 기술의 필요성과 최근 동향 file 😀건강덕833 2024.04.14 302
171 전문정보 위암 발생 경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독성 및 항산화 시스템, 비타민 C 및 식물화학물질과의 상호작용 file 😀건강덕282 2024.04.14 352
170 전문정보 젊은 뇌의 비타민 C 결핍—실험 동물 모델을 통한 결과 † file 😀건강덕956 2024.04.14 341
169 전문정보 비타민 C 수송체와 발암에 미치는 영향 file 😀건강덕342 2024.04.14 386
168 전문정보 시판 제품에 통합된 아스코르빈산의 화학적 안정성: 생체 활성 및 전달 기술에 대한 검토 file 😀건강덕582 2024.04.14 326
167 전문정보 암 극복을 위한 전투에서 아스코르빈산의 치료 잠재력 이해 file 😀건강덕018 2024.04.14 361
166 전문정보 비타민 C 생리학: 알려진 것과 알려지지 않은 것 그리고 골디락스 file 😀건강덕758 2024.04.14 314
165 잡담🗣️ 비타민 C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생리학적 역할, 동역학, 결핍, 사용, 독성 및 결정) file 😀건강덕925 2024.04.14 345
164 잡담🗣️ 더 이상 사람들에게 ‘자신을 숨기지 않기로 결심’ 성소수자 file 😀건강덕340 2024.04.14 3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