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목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치매에 대한 의뢰된 연구 업데이트에 대응하여, 다양한 분야와 분야의 치매 연구자로 구성된 영국 기반 실무 그룹은 팬데믹이 치매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향후 우선순위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연구.

행동 양식

우리는 향후 연구 요구에 대한 전문가 그룹 구성원의 합의를 통해 COVID‐19의 맥락에서 치매 웰빙에 대한 신속한 문헌 검색(미출판, 비 동료 검토 및 진행 중인 연구/보고 포함)을 보완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그룹이 기존 문헌에서 다루지 않았지만 관련성이 있다고 판단한 잠재적인 연구 질문을 생성했습니다.

결과

주제는 NHS 잉글랜드 코로나19 치매 웰빙 경로의 6개 영역(잘 예방하기, 잘 진단하기, 잘 치료하기, 잘 지원하기, 잘 살기, 잘 죽기) 내의 141개 연구에서 나왔습니다. 우리는 치매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진단을 받은 사람, 간병인, 사회적 접촉자, 보건 및 사회복지 종사자, 자원봉사자), 서비스, 연구 활동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현재 연구 결과와 지식 격차를 설명합니다. 광범위한 주제에는 원격 의료를 포함한 새로운 업무 모델의 잠재적 이점과 위험, 장기적인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인구 대표 종단 연구의 필요성, 광범위한 건강 및 관리 연구 내에서 치매 관련 결과 보고의 중요성이 포함되었습니다.

결론

코로나19 팬데믹은 치매 환자에게 불균형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연구원과 자금 지원 기관은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신속하게 대응했습니다. 향후 연구에서는 치매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거 기반 조치를 개발하기 위해 뛰어난 질문을 강조하고 해결해야 합니다.

키워드: 코로나19, 치매, 연구, 웰빙

키 포인트

 

  • 코로나19 팬데믹은 치매, 치매 서비스 및 연구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게 불균형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 팬데믹의 영향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향후 작업 방향은 이 연구에서 확인됩니다.
  • 원격 건강 및 관리의 잠재적 이점과 위험을 탐색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포괄적이고 종단적인 연구를 설계하고, 광범위한 연구 내에서 치매 관련 결과를 보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소개

COVID‐19 코로나바이러스 전염병은 감염 및 후속 사망 위험이 상당히 증가한 치매 환자에게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  전체 COVID‐19 관련 사망의 31%를 차지합니다.  치매 환자는 또한 전염병 제한에 따른 사회적 고립과 건강 및 사회 복지에 대한 접근성 감소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영향을 받습니다. 영국에서는 치매 환자(치매 환자, 간병인, 사회적 접촉자, 보건 및 사회 복지사, 자원봉사자)가 팬데믹으로 인해 '최악의 타격'을 받았습니다.  ,  치매 서비스, 연구 활동 및 자금 지원이 줄어들고 건강 불평등이 확대되었습니다.  이러한 영향을 조사하고 해결하기 위한 이니셔티브는 팬데믹 경험으로부터 얻은 교훈을 확인하기 시작했지만 치매 환자를 포함하는 연구는 COVID‐19에 대한 취약성으로 인해 영향을 받았습니다.

치매 환자와 간병인을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은 코로나19와 치매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이해하고, 해당 연구를 최대한 활용하여 정책과 실무를 알리고, 방향을 정할 핵심 연구 격차를 식별하는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미래의 일. 치매 웰빙에 대한 팬데믹의 영향에 대응하여 NHS England는 최고의 치매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NHS England Dementia Well Pathway를 기반으로 코로나19 상황에서 정책 목표를 전달하기 위한 가이드를 발표했습니다  . 이 경로  치매 환자와 간병인이 예방부터 임종까지 여정의 각 단계에서 필요로 하는 관리 및 지원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여 치매 관리, 연구 및 인식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합니다.  에서의 치매 웰빙 가이드는 우선순위와 조치를 강조하고 치매 웰빙의 6단계(잘 예방하기, 잘 진단하기, 잘 치료하기, 잘 지원하기, 잘 살기, 잘 죽기) 내에서 지침과 자원을 제공했습니다. 영국 보건사회복지부(DHSC) 치매 프로그램 위원회는 이후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치매에 대한 연구 업데이트를 의뢰했습니다.

이 논문은 치매와 코로나19에 관한 연구에 대한 문헌 검색과 2020년 11월 치매 프로그램 위원회의 질문에 응답하여 구성된 실무 그룹의 전문가 합의에서 나온 것입니다. 코로나19 치매 웰빙 경로  프레임워크로 사용 , 우리는 치매 웰빙과 코로나19에 대해 완료되고 진행 중인 연구를 설명하고 향후 작업의 주요 방향을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방법

관련 질문, 연구 데이터베이스, 완료되고 진행 중인 연구는 초기 회의와 후속 서신 동안 실무 그룹 구성원에 의해 확인되었습니다. 영국 기반 실무 그룹의 전문 지식에는 치매 관련 주제를 연구하는 보건, 경제 및 사회 복지 분야의 연구자가 포함되었습니다(  실무 그룹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표 S1 참조). 초기 토론은 2020년 말에 코로나19 및 치매에 대한 출판 및 미출판 연구를 식별하기 위한 문헌 검색으로 보완되었습니다. 우리는 문헌의 중요한 격차와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합의 영역을 식별했습니다. 우리는 코로나19 치매 웰빙 경로의 6단계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고하고 특히 영국 연구를 언급합니다.

2.1. 문헌 검색 및 연구 선택

한 저자(KL)가 문헌 검색을 주도하고 제목과 초록의 관련성을 검토한 후 관련 전문에서 데이터를 추출했습니다. 특정 검색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했습니다(표 1) 2020년 12월 9일자, 전문가 그룹 구성원과의 협의를 거쳐 2021년 1월 7일에 업데이트되었습니다.

1 번 테이블

문헌 검색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및 검색어

데이터베이스 유형 데이터베이스 이름 검색어
출판된 연구 퍼브메드 제목, 초록 및 전체 텍스트에 '(SARS‐CoV‐2 또는 COVID‐19 또는 hCoV‐19 또는 2019‐nCoV) AND (치매 또는 알츠하이머 또는 신경퇴행성 또는 “경도 인지 장애”)''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웹오브사이언스
체계적인 리뷰 등록 프로스페로
사전 인쇄 데이터베이스 BioRxiv 및 MedRxiv(검색 시 괄호를 지원하지 않음) 제목과 초록의 'Covid AND 치매'
진행중인 영국 자금 지원 연구  에 대한 장기 요양(LTC) 대응 '치매' 관련 프로젝트
코로나19 UKRI(UK Research and Innovation)는 데이터베이스 
영국 국립보건연구소(NIHR) 자금 지원 및 수상 데이터베이스  '치매', 'COVID' 관련 프로젝트

포함된 연구에는 모든 연령층의 COVID‐19 및 치매 또는 경도 인지 장애에 관해 모든 국가에서 영어로 작성된 연구 기사가 포함되었습니다. 경도 인지 장애가 있는 개인은 종종 기억 서비스를 평가 및/또는 추적 관찰하며, 상당 부분이 신경퇴행성 질환의 초기 단계를 경험하고 있으며 치매로 진행될 것입니다. COVID‐19 및 치매 웰빙과 관련된 정량적 또는 질적 결과를 보고한 경우 1차 연구 및 검토뿐만 아니라 사례 시리즈, 논평, 입장 문서 및 정책 문서를 포함했습니다. 치매 내 특정 위험 요소를 식별하지 않고, 코로나19에 따른 이차 치매 발병 위험, 질병 메커니즘, 치매가 코로나19 사망률이나 감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연구는 제외했습니다. 사례 보고서는 제외되었습니다. 개인에 대한 연구는 이 연구의 목적에 비해 정보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2019년 11월 이전) 동안 획득되지 않은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한 기사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코로나19 및 치매웰빙에 대한 기존 연구의 범위를 규명하려는 목적과 일치한다고 전문가 집단이 판단했으나, 문헌검색에서 나오지 않은 추가적인 연구나 보고서를 검색결과와 결합하여 보고하였다( 수치 1). 예를 들어, 요양원과 같은 장기 요양 시설에 거주하거나 일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부 특정 연구에서는 치매 참가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고 명시적으로 보고하지 않았지만 영국의 70% 이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습니다. 요양원 거주자는 치매를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  일부 전문가 회원은 또한 코로나19의 영향을 탐구하기 위해 기존 프로젝트를 조정한 진행 중인 자금 지원 연구, 비 동료 검토 자선 단체의 영국 설문 조사 기반 보고서,  ,  ,  ,  및 COVID‐19에 대한 장기 치료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을 수집하기 위해 설립된 'LTCcovid' 협력( www.ltccovid.org )에서 발표한 두 개의 보고서입니다.  ,  일부 회원은 아직 발표되지 않은 자금 지원 연구에 대해 알고 있었습니다. 표에는 포함시키지 않았지만 본문에 몇 가지 세부 정보를 제공합니다.

그림,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 개체 이름은 GPS-36-1597-g001.jpg

식별, 포함, 제외된 기록의 수와 제외 이유. 각색 :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Altman DG, The PRISMA Group(2009) 

3. 결과

데이터베이스 검색 및 기사 선별을 통해 141개의 관련 연구를 식별했습니다(그림 참조). 1,,22및 테이블 2,,삼,,,4,4,,5,5,,6,6,,7).7). 우리는 이러한 연구의 주요 결과와 코로나19 치매 웰빙 경로의 6단계 각각과 관련하여 전문가 합의를 통해 확인된 연구의 주요 격차를 설명합니다.상자 1.

그림, 일러스트레이션 등을 담고 있는 외부 파일. 개체 이름은 GPS-36-1597-g002.jpg

NHS England Dementia Well Pathway에 매핑된 COVID‐19 및 치매 웰빙 연구의 분포. 그림은 연구 수(전체 대비 백분율)를 보여줍니다.

표 2

잘 예방하다

공부하다 유형 국가 연구 유형/방법론 참가자 수(해당되는 경우 치매 환자) 치매의 종류 환경 연구의 초점 결과 테마
마우리크 2020  1 네덜란드 코호트 조사 389 (121) 광고, DLB, MCI 재택생활 치매/MCI 환자, 간병인 및 주관적 인지 저하 환자에 대한 유행병 제한의 심리사회적 영향. 상당수의 환자가 높은 비율의 사회적 고립과 행동 문제를 경험했으며 이는 간병인의 부담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팬데믹 제한이 행동, 활동 및 간병인의 복지에 미치는 영향.
팔레르모 2020  1 이탈리아 유망 코호트 28 PD, MCI 재택생활 전염병 제한이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불안과 인지가 악화되고 우울증, 수면 또는 운동 증상의 변화가 없습니다.
디 산토 2020  1 이탈리아 전화인터뷰 126 (70) MCI 재택생활 코로나19 제한이 웰빙에 미치는 영향. 불안 증상과 관련된 생산적인 여가 ​​활동의 감소.
실종 2020  1, 3 저것 검토 저것 저것 저것 치매 유무에 관계없이 노인에게 COVID‐19로 인한 감염 또는 사회적 고립이 미치는 영향. 코로나19는 치매가 있거나 없는 노인의 웰빙에 광범위하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차파누 2020  1 그리스 단면 조사 204 쌍 MCI와 치매 재택생활 MCI/치매 환자와 간병인에게 미치는 정신적, 육체적 영향에 대한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을 연구합니다. 환자의 기분, 의사소통, 움직임 및 새로운 조치에 대한 순응도가 전반적으로 저하됩니다. 간병인의 부담이 더 컸습니다.
라라 2020  1 스페인 유망 코호트 40쌍 MCI, 광고 재택생활 팬데믹 폐쇄 전 1개월과 후 5주 동안 팬데믹이 신경정신과적 증상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과적 증상 부담이 증가했으며 가장 빈번하게는 초조, 무관심, 비정상적인 운동 활동이 나타났습니다. 삶의 질 점수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굿맨‐카사노바 2020  1 스페인 단면 조사 93 MCI 또는 경미한 치매 재택생활 TV 지원 지원을 살펴보는 기존 연구에서 코로나19 관련 감금이 참가자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합니다. 대부분의 참가자는 웰빙이 좋았지만 혼자 사는 사람들은 부정적인 심리적 및 수면 문제가 더 많이 보고되었습니다. 스터디 그룹 간에는 차이가 없습니다. 중재 부문에 속한 사람들은 TV에서 더 많은 기억력 훈련을 수행했습니다.
오까오임 2020  1 아일랜드 단면적 온라인 설문조사 202 (161) 다이애드 '인지 장애' 주거형 케어 시설 코로나19가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주민 방문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Visitors experienced low psychosocial and emotional wellbeing during lockdown, and visitors of residents with cognitive impairment had worse well being than those without.
Nyashanu 2020 1 UK Semi‐structured interview 40 healthcare workers NR Care homes Explored triggers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healthcare workers. Triggers included fear of infection and infecting others, lack of recognition/disparity between NHS and social care, lack of guidance, unsafe hospital discharge, death and loss of professionals and residents, unreliable testing and delayed results and shortage of PPE.
Cohen 2020 1 Argentina Survey cross‐sectional 119 dyads AD and mixed. Home‐dwelling Family caregivers were asked to report change in behavioural symptoms after the first 8 weeks of mandatory quarantine. There was an overall deterioration behaviour in patients, probably related to the social restrictions and lack of outpatient services. Carers experienced increased stress.
Cagnin 2020 1 Italy Survey cross‐sectional 4913 AD, FTD, DLB, VD Home‐dwelling Carer views of neuropsychiatric symptoms 1 month after pandemic restrictions introduced. There was an increase in neuropsychiatric symptoms in over half of patients and stress related symptoms in two thirds of carers. AD was associated with anxiety and depression, DLB with worsening hallucinations and sleep disorder, FTD with wandering and change of appetite.
Boutoleau 2020 1 France Cross‐sectional survey 38 dyads AD Home‐dwelling Carer views of neuropsychiatric symptom change during COVID restrictions 26% of patients had a change in neuropsychiatric symptoms. They had lower cognitive function compared to others and length of confinement correlated with symptom severity and carer stress.
El Haj 2020 1 France Prospective cohort 58 AD Retirement homes Change in depression and anxiety in retirement homes during and before the COVID pandemic. Higher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during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This was attributed to social restrictions in the homes.
Carpinelli Mazzi 2020 1 Italy Cross sectional 239 dyads AD, VD, mixed, DLB Home‐dwelling Psychological impact of COVID lockdown on carers Lockdown had negative effects on half of patients. Higher levels of anxiety and depression with time of isolation. Higher education was a protective factor and being female was a risk factor.
Altieri 2020 1 Italy Cross section survey 84 dyads AD, VD, FTD Home‐dwelling Psychological impact of COVID lockdown on carers, and levels of resilience Carers experienced increased depression. High resilience was associated with lower anxiety and caregiver burden but not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Alexopoulos 2020 1 Greece Cross sectional 67 dyads AD, VD, mixed, FTD Home‐dwe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stress and neurocognitive symptoms in the people they care for. Caregiver distress severity was related to memory deficits, neuropsychiatric symptoms, caregiver hyperarousal, avoidance and COVID‐related worries.
Borges‐Machado 2020 1 Portugal Prospective (pre and post) 36 dyads Dementia or neurocognitive disorder Home‐dwelling Compare pre‐ and post‐ impact of pandemic (Nov 2019 and Jun 2020) on impact by surveying carers. Care recipients had decreased independence and increased NPI score. Caregivers reported decline in wellbeing and increased burden.
Penteado 2020 1 Brazil Cross sectional 100 (74) MCI, AD,VD, FTD Home‐dwelling Survey and interview of older adults and aging adults with Down syndrome with neurocognitive disorders. Neuropsychiatric symptoms and caregiver burden were higher in people with dementia.
Soldevilla 2020 1 Spain Prospective 16 At risk of AD (subjective cognitive decline and APOE4 carriers) Home‐dwelling Follow up assessments to assess mental and cognitive health during the pandemic lockdown. Mood deteriorated during and after lockdown but cognition remained stable.
Roach 2020 1 Canada Remote interview 21 dyads NR Home‐dwelling Assess impact of pandemic on carers and people with dementia. Isolation and mental health needs were identified as important.
Thyrian 2020 2 Germany Telephone interview 141 Mild dementia Home‐dwelling Assess impact of pandemic on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who were already enrolled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or dementia trials. Reported limited impact of the pandemic and identified a need for longitudinal studies.
Baschi 2020 1 Italy Cross‐sectional 96 (62) dyads PD‐MCI, MCI Home‐dwelling Assess impact of pandemic on prodromal PD dementia through a post‐lockdown interview Reported worsening of cognitive, behavioural and motor symptoms, especially in PD‐MCI.
Koh 2020 1 Singapore Retrospective 634 NR Home‐dwelling Comparison of records from patients who were assessed by a geriatric clinic pre‐ and during pandemic lockdown. Higher behavioural symptoms in group during lockdown versus group pre‐lockdown.
Barguilla 2020 1 Spain Prospective 60 dyads AD, MCI, VD, FTD, DLB Home‐dwelling Impact of pandemic by comparing post‐ and pre‐lockdown data. Reduction in social activities, increase in carer burnout and burden, worsening of dementia‐related behaviours reported.
Iodice 2021 1, 3 NA Review NA NA NR Review of impact of pandemic on older people including with cognitive impairment such as dementia. There has been reduced support to older people with dementia during the pandemic which needs to be addressed.
Suarez‐Gonzalez 2020 1 UK Cross sectional survey 184 carers and 84 people with dementia Rare and young‐onset dementia Home‐dwelling Assess impact of COVID pandemic Worsening of dementia symptoms and reduced support were reported.
Jeon 2020 5 Australia Cross sectional survey NR (dyads) NR NR Examine the impact of COVID‐19 on life and wellbeing and access to care and support of people living with dementia and their care partners, and identify key issues and lessons. Interim report published, ongoing.
Porcari 2020 1 Italy Observational/cross‐sectional 150 dyads NR Home‐dwelling Development of 2 surveys (caregiver or patient) to be used to monitor the impact of the pandemic. Ongoing study. NA
Whitley C19‐IUC‐382 (UKRI) 5 UK Survey NR NR NR The impact of COVID restrictions on the mental health of carers NA
Giebel 2021 5 UK, Poland, Italy, Australia, India Mixed methods NR NR NR International impact of COVID restrictions on unpaid carers and people with dementia. NA
Giebel 2021 5 UK Qualitative interview 40 NR NR Experiences of care home staff and family carers of people with dementia residing in a care home during the pandemic. NA
Daley 2021 5 UK Mixed methods 350 dyads NR NR To understand how COVID‐19 has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wellbeing and care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compared to pre‐COVID measures. NA
Suarez‐Gonzalez et al., 2021 5 NA Rapid review NA NR NR Rapid review of impact of pandemic and isolation of people with dementia. NA
Stockwell 2021 3, 5 NA Registered systematic review NA NR NA To review the prevalence of physical and sedentary behaviours during the pandemic, to include people with dementia. NA
Alzheimer's Society UK 6 UK Survey, analysis of existing records and publications 128 care home managers, 134 people with dementia, 1000 carers and available records on 2000 people. NR Included home‐dwelling and care homes Report on the impact of the pandemic on people affected by dementia. Half of people with dementia who were surveyed reported worse mental health, 82% of carers surveyed reported deterioration in dementia symptoms, 95% carers reported worse mental health, 75% care homes managers reported that GPs were reluctant to visit in May 2020%, 93% of users reported they were more able to manage after support provided by Alzheimer's Society.
Dementia UK 6 UK Survey 169 carers NR NR Report included the impact of pandemic on carers. 83% carers said they had fewer opportunities to take a break from caring, 78% found it harder to cope and had negative impact on wellbeing of the person they care for, 86% reported negative impact on own wellbeing. 71% said home visits from care staff were cancelled, 57% were offered alternative e.g. telephone appointments, half those offered telephone appointments said that this met their needs or those of the person they care for. Many were pessimistic about future support.
Age UK 6 UK Report using online survey/polling. NR NR NR Report on impact of pandemic on older people that included a section on older people with dementia. Family members reported that the people with dementia they cared for deteriorated in their behaviour related to the pandemic.
Carers UK 6 UK Online survey 4830 carers and 217 former carers NR NR Report on impact of pandemic on carers. 22% of those surveyed were aged >65 years. 70% were providing more care due to the pandemic, 35% were doing this due to local services closing, 50% felt overwhelmed and worried about burnout.
                See also Lorenz‐Dant 2021(Table 4)
Kobayashi 2020 1 Japan Semi‐structured interview 55 dyads AD Home‐dwelling Understanding of why face masks need to be worn and ability to wear them. Most AD patients were unable to explain why they needed to wear a face mask and most could not put one on independently. A proportion could not do so even with help from a carer. Reduced ability to understand and comply with pandemic restrictions.
Suzuki 2020 1 Japan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24 dyads AD, FTD Home‐dwelling How FTD and AD patients and their carers managed to comply with restrictions. FTD patients showed more difficulty keeping social distances, washing hands and staying at home, compared to AD.
Tsugawa 1 Japan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s 126 AD Home‐dwelling Awarenes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need to wear masks, May‐Jun 2020. Moderate‐severe AD patients were less likely to be aware of the pandemic or understand the need to wear masks, compared to mild AD.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Hashimoto 2020 1 Japan Questionnaire 111 (74) AD, FTD, DLB, MCI Home‐dwelling Lifestyle changes due to COVID‐19 during Apr 2020. Most MCI and dementia patients who lived alone did not limit their outings or activities during one month of the outbreak.
Kuo 2020 1 UK Prospective cohort 322948 (1090) NR Home‐dwelling APOE‐4 genotype and COVID‐19 risk. APOE‐4 homozygosity increased risk of severe COVID‐19 infection in dementia and non‐dementia participants. Specific COVID19 risk factors in people with dementia.
Sainz‐Amo 2020 1 Spain Case‐control 211 (38) PD Hospital COVID‐19 risk in PD. Institutionalization and presence of neoplasm increased risk and severity of COVID‐19, and not PD‐related variables.
De Smet 2020 2 Belgium Retrospective observational 81 (36) NR Hospital Association between frailty and COVID mortality in hospitalized patients. Mortality was not associated with dementia, but dementia was associated with frailty which was related to COVID mortality.
Li 2021 3, 5 NA Registered systematic review NA NR NA Review of frailty risk on COVID mortality, to include dementia as subgroup analysis. NA
Wardlaw C19‐IUC‐044 (UKRI) 5 UK NR NR VD NR Assess impact of COVID‐19 on stroke patients with vascular disease who are in an existing vascular dementia follow up study. NA
Dutey‐Magni 2020 2 UK Prospective cohort 8713 (3419) NR LTC facilities SARS‐CoV‐2 infection and mortality in LTC facilities, Mar‐Jun 2020. 20% had symptoms during pandemic but few were tested. Lower staffing ratios and higher occupancy rates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infection. Crowding, staffing and other LTC facility‐related factors.
Brown 2020 1 Canada Prospective cohort 78607 (54868) NR Nursing homes The impact of crowding (number of residents per bathroom and bedroom) on COVID‐19 infection and mortality. Crowding was common in nursing homes and associated with larger and deadlier COVID outbreaks.
Frazer 2020 2, 3 NA 체계적인 검토. 한 출처(영국 통계청)에서 치매가 언급되었습니다. 저것 저것 저것 LTC 시설의 COVID‐19 감염에 대한 다양한 예방 전략의 영향을 평가합니다. 대량 테스트가 주요 예방 조치로 사용되었습니다. 예방 전략과 감염 확산 사이에는 뚜렷한 패턴이 없습니다. 더 큰 시설 규모, 더 많은 직원, 여러 시설에서 근무하는 직원, 더 많은 감염 직원 수, 병가 없음, PPE 가용성 감소, 영리 목적 상태와 같은 요인으로 인해 코로나19가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았습니다.

참고: 유형: 1 = 출판된 논문, 2 = 사전 인쇄, 3 = 검토, 4 = 연구 프로토콜, 5 = 완료될 (자금 지원) 연구, 6 = 국내 또는 국제 보고서.

약어: AD, 알츠하이머병; DLB, 루이체 치매; FTD, 전두측두엽 치매; LTC, 장기 요양; MCI, 경도 인지 장애; MDT, 다학문적; 해당 없음, 해당 없음; NR, 보고되지 않음; PD, 파킨슨병; PPE, 개인 보호 장비.

표 3

잘 진단하다

공부하다 유형 국가 연구 유형 참가자 수(해당되는 경우 치매 환자) 치매의 종류 환경 연구의 초점 결과 테마
니자마‐비아 2020  1 영국 코호트 회고전 17 (6) 아니요. 정신병원 노인병동 입원환자의 특성. 모든 치매 환자는 증상을 나타냈으며, 그 중 4분의 1은 저활동성 섬망을 보였습니다. 코로나19 프레젠테이션 및 테스트.
비앙케티 2020  1 이탈리아 회고적 코호트 82 아니요. 급성병원 코로나19 치매 환자의 유병률, 임상 양상, 결과를 평가합니다. 치매, 특히 진행성 치매는 코로나19 사망률의 위험 요소입니다. 발병의 가장 빈번한 증상은 섬망, 특히 저활동성 섬망 및 악화된 기능적 상태였습니다.
루이 2020  1 사슴 회고적 코호트 21 (15) 아니요. LTC 시설 샌프란시스코 LTC 거주자(LTC 및 비LTC)의 첫 번째 코로나 관련 사망자의 임상적 특징. LTC 거주자 중 거의 절반이 발열, 기침, 호흡곤란 없이 비정형 증상을 보였습니다. 4분기에는 정신 상태의 변화가 유일한 증상이었습니다.
레보라 2020  1 이탈리아 관찰 코호트 516 (85) 아니요. 병원 섬망과 코로나19 사망률 사이의 관계와 섬망의 위험 요인을 평가합니다. 치매는 입원 환자의 섬망의 위험 요인이었으며, 이는 결국 코로나19로 인한 사망 위험을 증가시켰습니다.
카네벨리 2020  1 이탈리아   415 아니요. 병원 2020년 2월~4월 코로나19로 사망한 치매환자의 임상적 특성. 치매 환자는 기침 증상이 나타날 확률이 낮고, 임상적 악화가 더 빠르며, 집중 치료, 항바이러스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 및 클로로퀸에 대한 접근성이 감소했습니다.
루텐 2020  1 네덜란드 유망 코호트 4007 (2364) 아니요. 요양원 COVID‐19로 인한 증상 및 사망 위험. 코로나19 양성 주민과 음성 주민 사이의 증상이 겹칩니다. 치매 환자의 사망률이 높습니다.
리빙스턴 2020  1 영국 회고적 코호트 131 (74) Late and young‐onset dementia Psychiatric hospital Prevalence, management and outcomes of COVID‐19 in older adult mental health wards. Patients had a higher risk of infection and mortality compared to those in the community. COVID‐testing was not available in the initial stages of the pandemic.
Graham 2020 1 UK Prospective cohort – Two point prevalence surveys 394 (223) NR 4 nursing homes SARS‐CoV‐2 infection,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 40% COVID‐positive testing residents were asymptomatic and 18% had atypical symptoms only. Some asymptomatic staff also tested positive. 26% of residents died during the two months of the study.
Graham 2020 1 UK Cross‐sectional 241 (NR) NR 4 nursing homes SARS‐CoV‐2 seroprevalence in the same four nursing homes as above. 72% of nursing home residents were antibody positive. 93% of previous COVID‐test positive residents had developed detectable antibodies.
Pranata 2021 3, 5 NA Registered systematic review NA NR NA Systematic review of delirium on COVID mortality risk, including whether this is associated with comorbidities including dementia. NA
Weiss 2020 1 USA Experience of one centre 85 NR Home‐dwelling Description and lessons from a telecare program in response to COVID Mar‐May 2020. Most patients attended appointments via the telecare program and support and advice could be given to patients and carers. Remote assessment and virtual diagnosis of dementia.
Capozza 2020 1 Italy Cross sectional 32 FTD Home‐dwelling MDT assessment of patients using telehealth in Apr 2020. Most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elehealth interview. They detected significant worsening in behaviour and language in half the patients since the start of lockdown.
Owens 2020 1, 3 NA Literature review and experience of authors (UK) NA NA NA Present a framework for virtual memory clinic assessment. A potential pathway with 3 levels of complexity described: 1) telephone/video based interviewing and using available tests, 2) digitized and validated tests based on pen‐and‐paper tests, 3) fully digitized test batteries and remote measurement technologies.
Geddes 2020 1, 3 USA Review NA NA NA Search for studies published between 2000 to Jun 2020 on remote cognitive assessment, integrated with MDT expert opinions. Telemedicine has potential to provide remote cognitive assessment during the pandemic and beyond. It will be important to ensure that reliance on technology does not marginalize sections of the population.
Carlew 2020 1, 3 NA Review NA NA NA Review of telephone based cognitive assessments up to Apr 2020. Included studies that investigated cognitive assessments for dementia. Telephone‐based assessments are viable, and while not intended to replace face‐to‐face, can expand scope of practice.
Domingues 2020 1, 3 NA Review NA NA NA Review of telemedicine use in neurology, including for dementia, up to Jun 2020. Telemedicine can be useful and viable for people with dementia.
NHS England 1, 6 UK Report NA NA NA 가상 평가에 대한 토론을 포함하여 전염병을 고려한 영국의 기억 평가 서비스에 대한 지침. 서비스는 필요에 따라 주도되어야 하고, 접근성이 평등해야 하며, 위험을 평가하고 모니터링해야 한다는 세 가지 핵심 원칙이 포함되었습니다.
Sharp 및 Barnaghi C19‐IUC‐032(UKRI) 5 영국 아니요. 100쌍 아니요. 재택생활 코로나19 증상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존 원격 기술 프로그램의 새로운 프로토콜입니다. 저것
미할로프스키 2020  1 독일 단면 노인 245만명(건강) 저것 혼합 2020년과 2019년의 폐쇄 기간 동안의 상담, 추천, 입원 및 사고 진단 건수를 비교했습니다. 2020년 폐쇄 기간 동안 치매 진단 건수는 전년 대비 38% 감소했습니다. 치매 진단율 및 2차 진료 의뢰
첸 2020  1 영국 중단된 시계열 연구 ∼86만명 아니요. 지역 사회 2차 진료 정신 건강 서비스 의뢰에 대한 코로나19의 중기 영향 평가 정신 건강 의뢰의 전반적인 증가에 비해 치매 환자 의뢰에 대한 폐쇄 후 장기 가속 비율은 없습니다.
스팔레타 2020  1 이탈리아 원센터 체험 변하기 쉬운 아니요. 지역 사회 팬데믹 기간 중 추모 서비스에 대한 첫 번째 약속 또는 후속 약속 취소율을 전년도와 비교했습니다. 팬데믹 제한으로 인해 팬데믹 기간 동안 환자의 66.7%와 77.4%가 각각 추모 서비스에 대한 첫 번째 약속과 후속 약속을 놓쳤습니다.
                Dementia UK 및 Alzheimer's Society UK 보고서도 참조하세요.

참고: 유형: 1 = 출판된 논문, 2 = 사전 인쇄, 3 = 검토, 4 = 연구 프로토콜, 5 = 완료될 (자금 지원) 연구, 6 = 국내 또는 국제 보고서.

약어: AD, 알츠하이머병; DLB, 루이체 치매; FTD, 전두측두엽 치매; LTC, 장기 요양; MCI, 경도 인지 장애; MDT, 다학문적; 해당 없음, 해당 없음; NR, 보고되지 않음; PD, 파킨슨병; PPE, 개인 보호 장비.

표 4

잘 치료하고 있어요

공부하다 유형 국가 연구 유형 참가자 수(해당되는 경우 치매 환자) 치매의 종류 환경 연구의 초점 결과 테마
2020년  1 프랑스 원센터 체험 변하기 쉬운 기원 후 재택생활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이 임상 및 연구 활동에 미치는 영향 폐쇄 이후 기억클리닉 활동과 외래환자 방문이 중단됐다. 다음주부터 원격상담이 시작되었습니다. 연구 센터를 방문하는 환자의 수가 약 52명에서 주당 5명으로 감소했습니다. 서비스 및/또는 연구에 미치는 영향
베나케 2020  1 스페인 원센터 체험 변하기 쉬운 광고, LBD, PD, FTD, VD 재택생활 팬데믹 폐쇄 전후 추모 서비스의 주간 방문 횟수입니다. 폐쇄 후 주간 방문은 60% 감소했지만, 원격 의료 적응을 통해 격리가 시작되기 전 몇 주 동안 평균 방문의 78%를 달성할 수 있었습니다.
실링 2020  1 사슴 원센터 체험 167 (33) 광고, PD 재택생활 3주간의 코로나19 검사 및 국가 권장 사항 적응의 결과. 센터는 임상 연구 활동을 계속 진행했지만 신규 환자 모집은 감소했습니다. 직원 출석률과 환자의 지속적인 참여도가 높았습니다. 코로나19 증상이 있는 환자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검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압델누르 2020  1 스페인 원센터 체험 130 (>78) 기원 후 재택생활 2020년 3월‐6월부터 센터가 코로나19 제한 사항, 부작용 및 안전 데이터에 어떻게 적응했는지. 임상시험 부작용 및 코로나19 의심 사례를 관리하기 위한 특정 프로토콜이 확립되었습니다. 사회적 거리두기, 연구 인력을 위한 PPE 및 모든 참가자와 연구 인력을 위한 SARS‐CoV‐2 PCR 테스트. 1/108 참가자만이 RCT에서 탈락했습니다.
By 로리토 2020  1, 4 영국 질적 연구를 위한 RCT 프로토콜 저것 아니요. 재택생활 팬데믹으로 인해 가정 학습의 활동과 운동이 원격으로 제공되도록 변경되었습니다. 연구에서는 전염병이 활동 및 운동 프로그램 제공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환자가 어떻게 경험했는지 평가할 것입니다.
슈왑 2020  1 사슴 원센터 체험 아니요. 기원 후 아니요. AD 임상 시험에 사용할 가상 ADAS‐Cog 생성을 위한 연구 그룹의 조정 및 솔루션에 대해 보고합니다. ADAS‐Cog는 AD 연구 참가자를 위해 가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이 방법의 타당성과 신뢰성은 평가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아바테 2020  1 이탈리아 케이스 시리즈 3 (1) PD 재택생활 영상, 전화를 통한 원격관리 경험 원격 고급 관리가 가능했으며 이러한 경우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치매 원격관리.
홈 2020  2 영국 혼합 방법 직원 158명 저것 재택 및 정신건강 입원환자 직원과 환자의 웰빙에 대한 정신건강 직원의 관점을 살펴보고 주요 과제와 혁신을 식별합니다. 입원환자 직원의 경우 가장 큰 과제는 감염 관리였습니다. 지역사회 직원은 신체적, 사회적 돌봄에 대한 접근 부족, 친구 및 가족과의 접촉 감소가 환자에게 어려운 점임을 확인했습니다. 원격 근무는 다양한 출처의 코로나19 관련 지침과 동료 지원과 함께 긍정적인 혁신으로 간주되었습니다.
카포조 2020  1 이탈리아 조사 38 (4) ALS‐FTD 재택생활 코로나19 대유행 동안 ALS 환자에 대한 MDT 평가의 타당성. 원격의료는 수용 가능하고 실행 가능했습니다.
Tuijt et al., (PriDem)  5 영국 전화나 영상 통화를 통한 반구조화된 인터뷰 치매환자 30명 및 보호자 31명 아니요. 공동체 생활 서비스 사용자의 진단 후 의료 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 중인 일차 진료 주도 치매 진단 후 관리(PriDem) 프로젝트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졌습니다. 치매 환자와 그 보호자는 검진 전화가 안심이 되지만 범위와 내용이 제한되어 있다고 느꼈습니다. 일부는 코로나19 위험을 최소화하고 NHS 부담을 줄이거나 기술 장벽에 직면하여 의료 서비스를 피했습니다.
응시 2021  3, 5 영국 체계적 검토 등록 저것 아니요. 저것 코로나19 상황에서 정신 건강 서비스의 원격 근무에 대해 검토하고 치매에 대한 연구가 포함됩니다. 아니요.
타이 2021  3, 5 저것 체계적 검토 등록 저것 아니요. 저것 신경과 환자(치매 포함)가 원격 의료와 대면 의료에 만족하는지 평가하기 위한 검토입니다. 아니요.
커슬레이크 2020  1 영국 케이스 시리즈 12 AD + VD, AD 혼합 정신병원 12명의 환자의 임상 경과를 설명하십시오. 그 중 9명은 코로나19에 감염된 것으로 의심되거나 확인되었습니다. 여기에는 높은 수준의 의학적 투입, 적절한 음식과 수분 섭취를 장려하기 위한 경험이 풍부한 간호, 영양사의 투입이 필요했습니다. 코로나 증상에 대한 자가 보고는 신뢰할 수 없습니다. 임종/소생과 관련된 조기 논의가 필수적입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체중 감소, 탈수, 혈청 나트륨 증가는 걱정스러운 징후입니다. 병원치료
그 2020  1 중국 회고적 코호트 42 (19) 기원 후 병원 입원한 AD 대 비 AD 코로나19 양성 환자의 임상 결과. AD 환자는 비‐AD 환자보다 더 빨리 입원했고 더 나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고메즈‐R라미로  1 스페인 폐쇄 전후의 회고적 분석 1958년 (11) 아니요. 병원 폐쇄 전과 폐쇄 후 응급 입원율의 차이. 전체 입원률은 감소했지만 치매 입원자는 늘었다.
                '잘 진단'의 Canevelli 2020 및 Livingston 2020도 참조하세요.
시어 2020  1 홍콩 케이스 시리즈 기원 후 병원 팬데믹 기간 동안의 사회적 고립과 관련된 신경정신병적 증상에 대한 설명입니다. 일상생활의 변화와 사회적 고립이 이들 환자의 행동 악화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믿어졌습니다. 모두 항정신병약을 처방받았다. 심리적, 행동적 증상을 관리합니다.
시모네티 2020  1, 3 저것 체계적인 검토 저것 저것 저것 치매의 신경정신병적 증상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 무관심, 불안, 동요는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가장 자주 보고되었으며 사회적 제한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대부분의 치료 전략은 약물요법에 의존하며 원격 기술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하워드 2020  1 영국 보병대 전국적 유병률 아니요. 모두 치매환자 중 항정신병약물을 처방받은 비율. 이전 연도에 비해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치매에 대한 항정신병제 처방 비율이 더 높습니다.
스톨 2020  2 캐나다 인구 기반 주민 77,291명(NR) 아니요. 요양원 팬데믹 기간 동안 항정신병약을 처방받은 거주자의 비율을 조사합니다. 2020년 9월까지 지속된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면서 향정신성 약물 처방이 증가했습니다.

참고: 유형: 1 = 출판된 논문, 2 = 사전 인쇄, 3 = 검토, 4 = 연구 프로토콜, 5 = 완료될 (자금 지원) 연구, 6 = 국내 또는 국제 보고서.

약어: AD, 알츠하이머병; DLB, 루이체 치매; FTD, 전두측두엽 치매; LTC, 장기 요양; MCI, 경도 인지 장애; MDT, 다학문적; 해당 없음, 해당 없음; NR, 보고되지 않음; PD, 파킨슨병; PPE, 개인 보호 장비.

표 5

잘 지원

공부하다 유형 국가 연구 유형 참가자 수(해당되는 경우 치매 환자) 치매의 종류 환경 연구의 초점 결과 테마
베르베크 2020  1 네덜란드 단면, 혼합 방법 954 (아니요) 아니요. 요양원 국가 지침 도입 후 요양원 방문 재개의 영향에 대한 연구. 제한 이후 요양원 방문을 허용하는 것은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국가 지침이 가정마다 적용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습니다. 케어홈 지원 및 케어홈 방문
매우 2020  1 홍콩 케이스 제어 2020년 24일 AD, PD, VD 혼합, 기타 병원 2020년 1월~5월 사이에 유행병 방문자 제한이 시작된 이후 경구 섭취가 부족하여 병원에 입원한 환자에 대한 보고입니다. 방문객 제한 기간 동안 경구 수유 상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2019년 같은 기간 원인불명의 경구 섭취 부족으로 입원한 치매환자는 8명에 불과했다. 2020년에는 NG 튜브 영양공급을 받은 환자의 비율이 더 높았는데, 이는 사전 치료 계획 부족 및 병원 방문자 제한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롬바르도 2020  1 이탈리아 단면 조사 100,806명의 거주자를 포함한 1,356개의 요양원(26%가 치매에 걸린 것으로 추정) 아니요. 요양원 대유행 기간 동안 요양원에서 발생한 부작용 빈도 및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더 높은 병상 수용력, 향정신성 약물 사용 증가, 신체적 구속 조치 채택, 독감 유사 증상으로 인한 입원, 특정 지역 등이 부작용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레온티에프 2020  1 네덜란드 혼합 방법 323명(>200명이 치매 치료 부서에서 일함) 의사 아니요. 요양원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도전적인 행동에 대한 요양원 실무자의 관점에 대한 연구. 더 높은 비율의 실무자들이 도전적인 행동이 증가하는 것과 감소하는 것을 보고했습니다. 절반은 업무량이 증가하고 업무 만족도가 감소했다고 보고했습니다. 전략에는 화상 통화, 특별 회의 공간, 부정적인 뉴스에 대한 노출을 줄이는 활동 조정이 포함되었습니다.
딕슨 ES/P008224/1(UKRI) 5 영국 조사 아니요. 아니요. 요양원 요양원 직원과 GP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양원의 항균제 처방을 이해하고 개선합니다. 저것
Shallcross ES/V003887/1 (UKRI) 5 영국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요양원 코로나19가 요양원 직원과 거주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빠른 교훈을 얻고, 실용적인 솔루션을 파악하세요. 저것
나이트 MR/V028502/1 (UKRI) 5 영국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요양원 폐쇄 완화 전, 후, 도중에 요양원과 COVID‐19 거주자 관리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을 평가합니다. 향후 발병 시 요양원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한 지침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저것
마틴 AH/V012770/1 (UKRI) 5 영국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요양원 Determine how best to ensure that the human rights of residents of locked‐down care homes are protected, during lockdown and beyond. NA
Fotaki ES/V015338/1 (UKRI) 5 UK NR NR NR Care homes Assess the financial impact of COVID on the UK care home sector NA
Surr 2021(NIHR) 5 UK Mixed methods NR NR Care homes Explore current visiting practices for relatives of care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across England, best practice approaches and barriers and facilitators to these. NA
Fitzpatrick 2021 5 UK Mixed methods In depth study of 6 care homes. NR Care homes Investigate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to protecting older people living in care homes from COVID. NA
Tischler AH/V006991/1 (UKRI) 5 UK NR NR NR Care homes Develop creative activities to support health and wellbeing and alleviate social isolation and loneliness for people with dementia in care homes. NA
Vaitheswaran 2020 1 India Qualitative semi‐structured interview 31 dyads AD, FTD, DLB, VD, mixed AD + VD, PD Home‐dwelling To describ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caregivers of dementia during COVID‐19 pandemic. Negative impact of restrictions on patients and carers, who expressed a need for more services and support during and after the pandemic. Video and telephone consultations can reach some, but lack of access to or knowledge of how to use technology were limitations. Technology should be used when feasible but in‐person services should continue with PPE and social distancing. Access to and use of remote support and communication
Sorbara 2020 1 Argentina Cross‐sectional survey 324 MCI, AD, PD, FTD, DLB, VD Home‐dwelling Study of the different consultation modalities during quarantine. Most patients experienced behaviour changes and over half of carers reported increased care burden. Only half accessed a medical consultation. Most participants >60 years preferred the telephone, only 9% used video and they were <60 years.
Monin 2020 1 USA Cross‐sectional survey 161 (86) dyads AD, VD, FTD, other LTC facilities Assess which methods of communication were associated with positive or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for LTC residents and their families and friends. Phone and email between family and friends were associated with more positive emotions.
Zamir 2020 1 UK Qualitative 22 (7) NR 3 care homes Video calls to improve socialization between older adults and their peers Video calls can reduce loneliness in residents and are feasible and acceptable.
Lai 2020 1 Hong Kong Prospective cohort 60 dyads Neurocognitive disorders in older adults Home‐dwelling Wellbeing measures after video conference versus telephone only over 4 weeks. Video conference was superior to telephone only, for patient and carer wellbeing.
Hammondcare International Ltd (Innovate, UKRI) 5 UK NR NR NR Care home Develop a dementia consultancy service that uses video conferencing to provide care home staff with 1‐to‐1 time with a dementia consultant. NA
Mantrah Ltd (Innovate, UKRI) 5 UK NR NR NR Home‐dwelling Develop a virtual knowledge base and chatbox for caregivers for people with dementia to reduce stress and carer burden. NA
Windle et al., 2023 5 UK RCT 356 dyads NR Home‐dwelling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an e‐health intervention for reducing dementia carer stress. NA
Savla 2020 1 USA Cross sectional 53 dyads NR Home‐dwelling Assess caregivers' appraisal of COVID‐related stressors, support availability and coping strategies as predictors of perceived role overload. Caregivers who were more concerned with the pandemic or received insufficient support from family/friends were more likely to experience role overload, compared to those who recognized positive aspects of the pandemic. Home care support
Giebel 2020 1 UK Qualitative 15 AD, VD, young‐onset Home‐dwelling Explore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continued paid home care support during the pandemic. Unpaid carers made difficult decisions about whether to continue paid home care, and those that discontinued, had to increase the care hours themselves.
Giebel 2020 1 UK Qualitative 42 dyads and 8 patients AD, VD, young‐onset Home‐dwelling and care home Explore the effects of COVID‐related social care and support changes on lives of carers and patients. Carers and patients were concerned about when services would re‐open, and carers worried about whether the person they cared for would still be able to re‐join support services.
Geyer 2020 1 Germany Prospective cohort 21 dyads NR Home‐dwelling To describe th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t 2 points during the pandemic. Caregivers and people with dementia feel stressed by the pandemic but often have coping strategies, especially informal support.
Cohen 2020 1 Argentina Cross sectional survey 80 dyads AD Home‐dwelling Study of how social isolation due to COVID impacted carer stress and burden. COVID confinement increased carer stress, especially for those caring for people with severe dementia. Carers of people with severe dementia worried about the availability of paid home care.
Egunsola 2020 1, 3 USA Rapid review 5 studies Cognitive impairment including dementia Home‐dwelling Review the best practices for care and engagement of older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who are required to isolate due to COVID‐19. Telehealth is important for well‐being, it is important for them to receive continuous cognitive and environmental stimulation, caregivers require social support. No recommendations in hospitals/LTC facilities identified.Two of the included studies were not relevant for this review; one was a commentary article and the second investigated intellectual disabilities.
Lorenz‐Dant 2021 2, 3 Various Rapid review 40 studies NR Unpaid carers The impact of COVID on unpaid carers and the measures to support them. Unpaid carers in community reported changes in care responsibilities, concerns around COVID infections, changes in support availability, financial and physical/mental health implications. Unpaid carers of people in residential care settings reported difficulties in communicating with residents, concerns about quality of care and COVID‐19 entering the care home. We also found that technology, financial assistance and support for working carers can help to mitigate these effects.
                See also Carers UK report.
BanerjeeES/V005529/1 (UKRI) 5 UK NR 266 NR Home‐dwelling DETERMIND‐C19 project. Impact of COVID on patients and carers and identify predictors of better or worse outcomes. Data will be used to generate practical guidance for services and families. NA
Banerjee ES/S010351/1 (UKRI) 5 UK NR NR NR NR DETERMIND project. Gather empirical data on how to support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nd identify predictors of better or worse outcome to generate practical guidance for services and families. NA
Maiden et al., EP/P010024/1 (UKRI) 5 UK NR NR PD and dementia Home‐dwelling Develop and evaluate a computerized toolkit for patients and carers to promote self management of their condition. NA
Dowsett et al., 2020 3 Canada Registered systematic review NA NA Home‐dwelling or supported living facility. Rapid review of best practices for isolation and quarantine due to COVID‐19 for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NA
Rare Dementia Support (RDS) Impact study 5 UK NR NR Rare, atypical or young‐onset dementia Home‐dwelling Study capturing the support needs of people living with or alongside a rare dementia, and the timepoints at which parts of the support service are typically requested (i.e. in both ‘typical' circumstances or in specific contexts, e.g. during the ongoing coronavirus pandemic). NA
Clare ES/V004964/1 (UKRI) 5 UK Survey and interview 300 (50) dyads NR Home‐dwelling Assess the impact of COVID pandemic on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rs and use the data to develop a set of resources to support them. NA
Giebel 2020 1 UK Survey 569 (61) AD, mixed, vascular, other Home‐dwelling Impact of COVID‐related social support closures on older adults, dementia patients, and carers' well‐being, Apr‐May 2020. Reduced social support and access during COVID‐19 pandemic, which was related to poorer wellbeing in all groups. Access to and use of social care.
Berridge 2020 6 USA Interviews and surveys 45 senior leaders of health and social care in Washington State NR NR Washington State health and social care services support 1.7 million older adults including over 107,000 with dementia. Report examines the impact of pandemic on health and social care usage from provider perspectives. Identifies challenges confronting service delivery and care and findings relevant to policy and practice, such as the risk of delayed access to health care, exacerbation of problems.
Samsi et al., 2021 (funded by Alzheimer's Society) 5 UK Interviews NR NR Home‐dwelling 2019~2021년 치매 환자를 위한 주거형 임시 간호 서비스 이용을 조사합니다. 코로나19 영향에 대한 증거를 포함하도록 조정되었습니다. 저것
STriDE 프로젝트  6 7개 중소득 국가 보고서 저것 아니요. 아니요. 개발도상국 치매 대응 강화(STRiDE) 프로젝트에 코로나 영향 및 대응에 대한 증거가 포함되도록 조정되었습니다. 저것 코로나19에 대한 국가적 대응을 지원하기 위한 자원.
그는 2021  6 캐나다 혼합 방법       정책 개선을 위한 증거 기반 권장 사항을 만들기 위해 치매 환자의 전염병과 건강 및 사회적 요구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합니다. 저것
LTCcovid 프로젝트 영국 보고서  6 영국 보고서 저것 아니요. 아니요. 코로나19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자료와 지원 자료를 모았습니다. 치매 치료는 영국의 다양한 수준에서 영향을 받았습니다. 요양원의 검사 및 PPE 부족, DNAR 양식 대량 서명 등 관련 관행이 확인되었습니다. 장기간의 폐쇄 또는 코로나19 퇴원 후의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LTCcovid 프로젝트 크로스컨트리 보고서  6 영국, 스페인, 아일랜드, 이탈리아, 호주, 미국, 인도, 케냐, 브라질 보고서 저것 아니요. 아니요. 치매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과 사망률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습니다. 치매 환자는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전체 코로나19 관련 사망자의 25%, 스코틀랜드에서 31%, 이탈리아에서 19%를 차지했는데, 이는 요양원의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집중 치료 등 치료에 접근할 수 있는 권리가 침해되었을 수 있습니다. 요양원 방문과 의료 서비스 이용을 허용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참고: 유형: 1 = 출판된 논문, 2 = 사전 인쇄, 3 = 검토, 4 = 연구 프로토콜, 5 = 완료될 (자금 지원) 연구, 6 = 국내 또는 국제 보고서.

약어: AD, 알츠하이머병; DLB, 루이체 치매; FTD, 전두측두엽 치매; LTC, 장기 요양; MCI, 경도 인지 장애; MDT, 다학문적; 해당 없음, 해당 없음; NR, 보고되지 않음; PD, 파킨슨병; PPE, 개인 보호 장비.

표 6

잘 살아요

공부하다 유형 국가 연구 유형 참가자 수(해당되는 경우 치매 환자) 치매의 종류 환경 연구의 초점 결과 테마
퀸 2020  1 사슴 유망 코호트 27 PD 재택생활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빠르게 수정된 신체 활동 코칭 프로그램에 빠르게 모집합니다. 원격 건강은 신체 활동 코칭 프로그램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 원격 모니터링 및 개입.
알베스 2020  1, 3 저것 체계적인 검토 저것 광고, VD, PD 재택생활 집에서 신경정신병적 증상과 간병인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심리교육적, 심리사회적 조치. 2010년 1월~2020년 4월 사이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기술의 사용 증가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환자와 보호자에게 잠재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증거가 있습니다.
페르난데스‐루이즈 2020  1 스페인 유망 33 절반은 신경퇴행성 질환을 앓고 있었다 아니요. 노인의 영양 상태와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한 원격 의료 상담의 효과를 판단합니다. 원격 의료는 영양과 관련하여 삶의 질을 평가하는 실행 가능한 접근 방식입니다.
발라드 MR/V027794/1(UKRI) 5 영국 임상 시험 아니요. 아니요. 요양원 코로나19 팬데믹에 맞게 조정된 인간 중심 치료 및 심리사회적 개입(WHELD)의 디지털 버전입니다. 저것
Manchester Camerata Ltd(혁신, UKRI) 5 영국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코로나19 기간 동안 치매 환자에게 음악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을 개발합니다. 저것
사촌 2020  1 영국 정성적 미디어 분석 검토 저것 아니요. 요양원 요양원에서 치매 환자에게 윤리적 치료가 어느 정도 전달되었는지 이해합니다. 주민에 대한 윤리적 배려에 대한 엇갈린 그림이 있었습니다. 비이기적인 모범 사례도 있었고, 윤리적 배려가 이루어지지 않은 사례도 있었습니다. 윤리적 배려
케어 품질 위원회(CQC)  6 영국 전국적인 조사 저것 아니요. 요양원 소생술 시도 금지 명령을 포함한 사전 치료 결정이 요양원의 치매 환자를 포함하여 팬데믹 기간 동안 여러 사람들에게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이해하기 위해 보고합니다. CQC는 이해관계자,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 그 가족 및 보호자로부터 다양한 사례에서 '포괄적인' DNACPR 결정이 지역 수준에서 제안되었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치매 환자들은 사전 치료 계획 대화에 필요한 만큼의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했다고 느꼈습니다.

참고: 유형: 1 = 출판된 논문, 2 = 사전 인쇄, 3 = 검토, 4 = 연구 프로토콜, 5 = 완료될 (자금 지원) 연구, 6 = 국내 또는 국제 보고서.

약어: AD, 알츠하이머병; DLB, 루이체 치매; FTD, 전두측두엽 치매; LTC, 장기 요양; MCI, 경도 인지 장애; MDT, 다학문적; 해당 없음, 해당 없음; NR, 보고되지 않음; PD, 파킨슨병; PPE, 개인 보호 장비.

표 7

잘 죽어가는 중

공부하다 유형 국가 연구 유형 참가자 수(해당되는 경우 치매 환자) 치매의 종류 환경 연구의 초점 결과 테마
볼트 2020  1, 3 네덜란드 신속한 범위 지정 검토 저것 아니요. LTC 시설. 간호 권장 사항을 알리기 위해 노인 및 치매 노인 환자의 완화 치료 및 COVID‐19. 완화의료와 코로나19에 대한 1차 연구는 없었다. 여러 기사의 권장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완화치료
서부 2020  1, 3 저것 신속한 검토 저것 저것 저것 노인의 돌봄 장소 및 사망 장소에 대한 의사결정을 검토하고 학습 내용을 코로나19에 적용합니다. 2020년 4월까지의 연구가 포함되었습니다. 노인의 의사결정 과정은 노인과 간병인의 질병 및 사망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코로나19 상황에서는 그러한 결정을 신속하게 내려야 하며 변화하는 요구에 대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사전 진료 계획 및 의사결정.
브라질 등, ES/V004255/1(UKRI) 5 영국 유망 코호트 가족 돌봄 및 요양원 직원 99명 아니요. 요양원 요양원을 위한 온라인 사전 진료 계획 코로나19 중심 개입을 개발하고 평가하여 요양 수명 종료를 개선합니다. 저것
Davieset al. ES/V003720/1 (UKRI) 5 영국 혼합 방법 아니요. 아니요. 아니요. 가족 보호자와 치매 환자가 어려운 결정을 내릴 때 사용할 수 있는 증거 기반 결정 도구를 개발합니다. 저것

상자 1

향후 연구를 위한 결과 요약 및 합의 방향

이전/현재 연구 결과 향후 연구 방향
잘 예방하세요:
  • 코로나19 팬데믹이 치매 환자와 보호자의 인지, 정신, 신체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많은 가족/친구 간병인이 재정적 영향과 함께 더 많은 보살핌을 제공했습니다.
  • 코로나19가 일반 보건 및 사회복지 인력에 미치는 영향.
  • COVID‐19 감염 예방: 치매를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은 전염병 제한 사항과 안면 마스크 착용을 이해하고 준수하는 능력이 저하되었습니다. LTC 시설 관련 요인은 코로나19 발병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치매 환자의 코로나19 위험 요인에는 APOE4 동형접합성이 포함되었습니다. 요양원에 거주하는 경우 동반 질환이 있으면 COVID‐19 질병 중증도 위험이 높아집니다.
  • COVID‐19 및 격리의 영향에 대한 정량적 및 종단적 연구. 연구는 포괄적이어야 하며 불평등의 영향을 평가해야 합니다.
  • 치매 환자, 요양원 직원, 치매 환자와 함께 일하는 보건 및 사회 복지 전문가의 웰빙에 대한 제한의 영향.
  • 광범위한 연구에서 치매 환자 또는 치매에 걸린 사람들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와 치매가 있거나 없는 거주자가 있는 요양원 ​​내에서의 치매 관련 결과를 분석해야 합니다.
  • 치매 환자에 대한 백신 접종 효과를 모니터링합니다. 이는 발표된 백신 시험에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코로나19가 치매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데이터.
잘 진단:
  • 팬데믹 기간 동안 치매 진단 서비스 이용이 감소하고 진단율이 감소합니다.
  • 치매의 코로나19는 증상이 없거나 비정형인 경우가 많으며 활동성 섬망을 포함할 수 있어 확산을 통제하는 데 정확한 PCR 검사가 중요합니다.
  • 일부 지역에서는 팬데믹이 시작될 때 요양원과 정신/정신건강 병원에 거주하는 치매 환자는 다른 지역에 비해 늦은 단계에서만 코로나19 검사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이는 지역적 발병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유행 기간 동안 재가 참가자의 치매에 대한 원격 평가 및 가상 진단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 팬데믹 기간 동안 대면 평가 및 진단 서비스 접근권 상실이 치매 진단 및 치매 환자의 정신 건강 진단에 미치는 영향.
  • 대유행이 시작되는 동안 나중에 진행된 연구(예: 후속 봉쇄)를 반복하면 교훈을 얻었는지 여부와 교훈(및/또는 광범위한 항체 혈청 양성 반응)이 감염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원격 평가를 최적화하고 기술을 사용하거나 보유할 수 없는 사람들이 뒤처지지 않도록 하세요.
  • 치매 환자를 포함하여 이 상태가 치매 위험, 진단 및 진행에 미치는 영향과 유병률을 조사하기 위한 포스트 코로나19 증후군('장기 코로나19')에 대한 연구입니다. 포스트 코로나 증후군이 간병인과 치매 인력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
  • 코로나19 이후 치매 진행률을 조사하기 위한 종단적 바이오마커 연구(영상, 유체, 인지).
잘 치료:
  • 항정신병제 처방이 증가하는 동시에 1차 진료 및 기억 클리닉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및 제공이 감소합니다.
  • 원격의료에 대한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 입원한 치매 환자는 특별한 필요가 있지만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있어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 참가자 모집과 같은 임상 연구 활동이 영향을 받았습니다.
  • 1차 및 2차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감소로 인한 장기적인 영향.
  • 치매 환자를 위한 원격 의료의 수용 가능성과 효율성.
  • 치매 환자의 긍정적인 치료 결과와 관련된 요인은 건강 관리 및 DNAR 명령 사용에 대한 부적절한 제한을 알리기 위한 것입니다.
  • 기존 및 향후 프로젝트, 초기 경력 연구원 및 참가자 모집 이니셔티브를 포함하여 치매 연구에 대한 COVID‐19의 영향.
잘 지원:
  • 팬데믹으로 인해 요양원 거주자와 직원의 웰빙이 감소했습니다. 원격 의료는 일부 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비공식 또는 유급 홈 케어, 데이 케어 및 기타 서비스는 간병인의 스트레스를 완화할 수 있지만 많은 간병인은 가용성과 감염 위험을 걱정하여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았습니다. 많은 간병인들이 원격 상담이나 지원에 접근할 수 없었습니다. 재정 지원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임시 간호 등 사회 복지 서비스에 대한 접근 및 이용이 감소합니다.
  • COVID‐19에 대한 국가적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설정되거나 조정된 자원 및 프로젝트.
  • 외로움을 줄이고 인권을 보호하는 동시에 방문, 원격 통신, 감염 관리와 관련된 요양원의 모범 사례입니다.
  • 간병인의 스트레스와 부담을 줄이기 위한 사회적, 디지털, 재정적 및 기타 개입을 포함하여 집에서 치매 치료를 가장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방법.
  • 특히 노인과 관련된 사회 돌봄 연구 결과는 치매로 추정될 수 있으며, 특정 치매 관련 결과는 이러한 그룹을 포함하는 더 광범위한 연구 내에서 분석되고 보고되어야 합니다.
잘 살기:
  • 심리사회적, 교육적, 신체적 개입의 원격 전달은 웰빙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지만, 기술에 대한 접근 및 사용 능력에 대한 주의 사항도 적용됩니다.
  • 웰빙을 개선하기 위한 원격 개입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기 위한 지속적인 추가 연구입니다.
  • 예를 들어 코로나19 이후 증후군이나 장기간의 격리로 인해 치매에 걸린 사람들의 재활이 필요합니다.
잘 죽는다 :
  • COVID‐19에서는 어려운 결정을 더 신속하게 내려야 할 수 있으며, 이제 치매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결정 지원이 제공됩니다.
  •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완화의료에 관한 1차 연구입니다.
  • 사전 의료 계획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연구입니다.

올바른 예방: 격리로 인한 정신적, 육체적 결과를 예방하기 위해 건강하고 활동적인 상태를 유지하는 것(표 2).

다양한 치매 환자를 포함한 30개 이상의 출판물에서 치매 환자와 간병인의 웰빙, 정신 건강 및 기능에 대한 코로나19 관련 제한의 전반적인 부정적인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아래에 설명된 Supporting Well 및 Living Well 영역에 포함된 여러 연구는 치매 웰빙에 대한 추가 유행병의 부정적인 영향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매에 초점을 맞춘 연구의 대부분은 단면 조사를 사용하고 주관적인 회고적 평가에 의존했으며, 결과를 전염병 전 결과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가 거의 없어 추가 정량적 및 종단적 연구가 필요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대부분의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쌍을 기반으로 했으며, 제한이 치매를 앓고 있는 요양원 ​​거주자, 요양원 직원 및 치매 환자와 함께 일하는 기타 실무자의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영국에서 이러한 측면에 대한 향후 데이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특히 치매에 걸린 사람들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가 더 광범위한 연구에서 분석되고 보고된다면 더욱 그렇습니다. 요양원 거주자 및 직원, 보건 및 사회복지 인력, 개인 및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 중이거나 완료된 다수의 광범위한 연구가 전문가 그룹에 의해 확인되어 표에 나열되어 있습니다. 2표 S2 에 더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

치매의 COVID‐19 예방과 관련된 또 다른 주제는 치매를 앓고 있는 많은 사람들이 전염병 제한, 사회적 거리두기 및 안면 마스크 사용을 이해하고 준수하는 능력이 감소했다는 것입니다.  ,  ,  ,  잠재적으로 증가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취약성. 규모, 혼잡도, 낮은 수준의 테스트 및 개인 보호 장비(PPE)와 같은 장기요양시설 특성은 더 많은 코로나19 발생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  공개된 코로나19 백신 시험 데이터에 따르면 모든 참가자가 서면 동의를 제공했으며(정신 능력 보존을 암시) 치매 환자는 아무도 없었습니다.  치매 환자에 대한 백신의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이들 중 다수는 백신 접종에 동의할 정신적 능력이 부족할 가능성이 높으며 일반적으로 여러 신체적 동반 질환을 가지고 있습니다.

 접합성, 시설 수용(장기 요양 시설 거주) 및 신체적 동반 질환 과 같은 치매 환자의 더 심각한 COVID‐19 감염에 대한 위험 요소를 조사했습니다 .  ,  ,  , 

합의 그룹은 많은 치매 연구에서 건강 및 사회 경제적 불평등이 중요하고 연구가 부족하다고 느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COVID‐19에 대한 연구가 인종과 같은 다양한 사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진 사람들을 포괄하도록 보장해야 합니다  . DETERMIND‐C19 연구(표 5, Banerjee et al., UKRI)는 치매 치료 및 코로나19 팬데믹과 관련된 결과의 불평등과 불평등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건강 불평등은 다른 국가에도 존재하며 국가마다 다르기 때문에 추가 조사와 정책 해결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진단 : 진단 서비스 유지 및 코로나19 증상에 대한 인식 유지 ( ).

팬데믹과 관련된 진단 서비스에 대한 접근 또는 의뢰 감소와 진단율 감소가 설명되었습니다.  이는 원격 의료 사용이 증가했다는 보고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정신 건강 2차 진료 의뢰가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었습니다.  영국에서는 국가 치매 진단율이 2020년 2월 이후 꾸준히 감소하여 11월에는 62.7%로 떨어졌으며, 이는  목표인 66.7%134 및 전년도(2019년 11월 68.2%)보다 낮았  . 팬데믹 기간 동안 대면 평가 및 진단 서비스 접근권 상실이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려면 향후 연구가 필요합니다.

정상적인 서비스 제공이 중단됨에 따라 치매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한 대체 방법(예: 전화 또는 화상 통화)이 등장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재택 거주 참가자의 치매에 대한 원격 평가 및 가상 진단의 타당성이 연구되었습니다,  ,  ; 그룹 구성원은 영국 치매 연구소(DRI) 치료 연구 및 기술 센터(CR&T)가 기억 클리닉을 지원하기 위한 원격 인지 테스트용 디지털 도구와 코로나19 징후를 감지하기 위한 원격 기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집에서 치매 환자의 감염(Sharp and Barnaghi, UKRI). 팬데믹 기간 동안 원격 인지 평가 또는 가상 기억 클리닉에 대한 옵션을 검토한 연구 또는 보고서에서는  ,  ,  ,  ,  기술에 의존하는 것이 기술을 사용하거나 소유할 수 없는 인구 집단을 제외하고 위험하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의 불평등이 더욱 악화될 수 있습니다.

8개 연구에서는 치매에서 COVID‐19의 발현이 종종 무증상이거나 비정형적이며 저활동성 섬망을 포함할 수 있어 정확한 중합효소 연쇄 반응(PCR) 검사 없이는 감지하기가 더 어렵고, 특히 증상에 대한 자가 보고도 신뢰할 수 없을 수 있다고 보고했습니다. 테이블 ). 치매 환자의 이러한 취약성에도 불구하고, 런던 기반 연구에 따르면 영국의 첫 번째 폐쇄 기간 동안 대유행이 시작될 때 노인 정신과 병동과 일반 병원의 후기 단계에서만 검사가 가능했으며, 이는 발병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  대부분의 주민(57%)이 치매를 앓고 있던 4개 요양원에 대한 런던 기반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양성반응을 보인 주민의 40%가 무증상이었고 사망률이 26%로 보고되었으며,  간호 우선순위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 환경에서는 가정 테스트 및 신속한 감염 통제 조치가 필요합니다. 이후의 폐쇄와 같이 대유행이 시작되는 동안 수행된 연구를 반복하면 감염 통제가 개선되었는지 여부와 SARS‐CoV‐2 항체의 높은 혈청 양성률  이 감염 및 사망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능 및 인지 장애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있는 치매 환자에서 포스트 코로나19 증후군('장기 코로나19'  ,  )의 유병률을 조사한 연구는 아직 없습니다 .  포스트 코로나 증후군이 치매 인력과 간병인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도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전문가 그룹의 구성원은 2021년 초에 발표될 COVID‐19, 즉 포스트 COVID 증후군의 장기적인 생물학적 및 건강 영향에 대한 NIHR 및 UKRI 자금 지원 연구를 알고 있었으며,  그 결과는 관련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치매에 걸린 사람들에게. 치매 환자들이 포스트 코로나19 증후군을 모니터링하는 진행 중인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도록 옹호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며, 장기 요양 시설을 모집 장소로 포함시키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코로나19는 직접적으로 또는 인지 예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치매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코로나19 감염 후 치매의 진행성 신경변성 또는 신경염증에 대한 바이오마커 증거를 검토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치매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체 바이오마커 연구에는 참가자, 직원 및 연구원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절차를 구현해야 합니다. 

잘 치료하기: 가능한 최상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보장(표 4).

일차 진료 서비스는 지역사회에서 치매에 걸린 사람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영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요양원 관리자는 일반의(GP)가 요양원 방문을 꺼린다고 보고했습니다.  2020년 11월, 지난 12개월 동안 GP가 주관한 약물 검토를 받은 치매 환자의 비율은 2019년 11월의 20.7%에서 17.5%  이러한 수치가 정신에 미치는 장기적인 영향 치매에 걸린 사람들의 신체 건강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폐쇄 기간 동안 기억 클리닉에서 사용된 원격 상담  ,  ,  일부 간병인에게 도움이 되었지만 다른 간병인은 그 목적과 유용성에 대해 확신이 없었습니다.  영국의 한 연구(PriDem)에서는 치매 환자와 그 가족 보호자 중 다수가 1차 의료 서비스와의 접촉을 피하고 있으며 1차 의료와의 전화 접촉의 가치에 대해 엇갈린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팬데믹 기간 동안 불안, 초조, 정신병 등 치매 관련 행동이 악화되는 것은 항정신병제 처방 증가와 관련이 있었습니다.  ,  ,  예를 들어 비디오 및 전화를 통한 원격 관리가 가능하고 위기 및 다학문적 팀 검토에 도움이 되었지만 이 연구에 참여한 참가자 중 소수만이 치매를 앓았습니다.  ,  의료 및 사회 복지 서비스에서 원격 지원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 원격 기술로의 전환 성공 여부를 평가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여러 연구에서 웰빙과 행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심리사회적 또는 신체적 개입의 원격 전달을 조사하고 있습니다(아래 '잘 살기' 영역 참조).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 감소와 전염병이 치매 관련 행동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해 병원에 입원하는 정신과 입원이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치매 관련 응급 입원이 증가하는 데 기여했을 수 있습니다.  치매 환자는 병원에서 특별한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었으며, 높은 수준의 의료, 간호 및 영양사 의견과 임종 치료 및 소생 상태에 관한 조기 논의가 필요했습니다. 런던의 노인 정신과/정신건강 병동은 격리, 검사, 산소 치료 등 신속한 적응을 도입했지만, 이러한 노력은 개인 보호 장비(PPE) 및 코로나19 검사(지역 종합병원과 비교 시)에 대한 접근 지연으로 인해 방해를 받았습니다.  또한 영국에서는 부적절한 '담요' 소생술 시도 금지(DNAR) 결정이 내려졌고 의료 시설에 대한 접근이 제한되어 영국의 요양원에 영향을 미쳐 규제 당국이 전국적인 조사를 하게 되었습니다.  치료에 대한 불평등한 접근에 대한 유사한 우려가 미국의 한 연구에서도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중국에서 실시된 한 연구의 결과에 의해 뒷받침되지 않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입원한 치매 환자가 조기 병원 입원 및 치료와 관련하여 치매가 없는 환자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고 밝혔습니다. 

4개 센터  ,  ,  ,  은 전염병이 임상 연구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험을 발표했습니다. 환자 모집 및 직접 방문은 감소했지만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한 참여율은 여전히 ​​높았습니다. 센터는 COVID‐19 증상 모니터링, 직원 및 참가자에 대한 PCR 테스트, PPE 사용 및/또는 원격 상담을 도입하여 전염병에 적응했습니다. NIHR Join Dementia Research( www.joindementiaresearch.nihr.ac.uk/ ) 와 같은 이니셔티브를 포함하여 연구 모집 및 참여에 대한 COVID‐19의 장기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가 필요합니다. 치매 연구자들, 특히 자금 지원 및 지원 기회를 잃었을 수 있고 연구실이나 대학과 같은 학문적 직장의 변화를 경험한 초기 경력 연구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데이터를 얻는 것도 중요할 것입니다.

잘 지원하기: 집에 있는 간병인과 요양원에 있는 사람들에게 맞춤형 돌봄과 지원을 제공합니다(표 5).

요양원에서 최소 6건의 자금 지원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표 5) 영국 요양원에서 코로나19의 영향을 더 깊이 이해하고 방문, 인권 보호, 발병 관리, 사회적 고립 감소 및 항균 처방에 대한 향후 지침과 모범 사례 접근 방식을 개발합니다. 가족 및 기타 요양원 거주자에게 연락하기 위한 이메일, 화상 및 전화 통화를 사용하면 외로움을 줄이고 웰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  의료 전문가의 원격 입력은 요양원 직원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HammondCare International Ltd, UKRI). 모든 요양원 거주자가 원격 지원 및 의사소통의 잠재적 이점에 어느 정도 접근할 수 있는지 평가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전염병은 또한 가족 간병인의 정신적, 육체적 안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건강 예방, 표 참조). 2), 그들 중 다수는 무급이고 재정적 영향을 미치는 돌봄 책임의 변화(돌봄 시간 증가)를 경험했는데, 이는 재정 지원이 잠재적인 지원 원천임을 암시합니다.  홈 케어 서비스에 대한 연구 및 보고서에 따르면 가족 간병인은 종종 직원 가용성과 잠재적인 감염 위험에 대해 우려하여 때때로 그러한  를 계속하지 않았지만 간병인을 방문하면 간병인의 스트레스 증가 수준이 완화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  .  ,  ,  다른 가족 간병인들도 자신이 거부할 경우 향후 홈 케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지 걱정했는데,  특히 지원 감소를 두려워하고 친숙한 홈 케어 작업자의 연속성을 놓쳤기 때문입니다. 6개의 자금 지원 영국 연구에서는 더 좋거나 나쁜 결과에 대한 예측 변수를 식별하고 모범 사례를 식별하며 지침을 개발하기 위해 가정에서의 치매 치료에 대한 코로나19의 영향을 조사할 것입니다. 한 연구(Alzheimer's Society PriDem 프로젝트의 일부)는 다음의 역할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피해와 자율성 상실의 위험을 관리하는 가족 보호자. 

가정에서의 원격 통신 기술 사용을 조사한 연구에 따르면 치매 환자의 상당 부분이 원격 상담에 액세스할 수 없었는데, 이는 기술 사용에 대한 접근, 지식 또는 자신감 부족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사람들의 선호도도 다양했습니다.  ,  영국 DRI CR&T, 알츠하이머 협회 및 우스터 대학교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치매 환자를 지원하는 영국의 그룹 및 개인이 코로나19 이전 대면 방식을 대체하기 위해 로컬 온라인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디지털 리소스를 구축했습니다. 면담( www.communitymakers.co )과 영국에서 자금을 지원받은 두 연구(Mantrah Ltd, UKRI  NIHR)는 간병인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치매 환자를 돌보는 가족을 위한 디지털 또는 온라인 중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단 하나의 발표된 연구 에서만 팬 데믹 기간 동안 주간 서비스 및 임시 간호에 대한 접근 감소 및 사용과 관련된 결과를 보고했습니다  치매 환자를 위한 주거형 임시 간호 서비스의 이용 및 경험에 대한 팬데믹 상황이 팬데믹 기간 동안 계속되었습니다.  임시 간호 및 보육 서비스가 생존하고 '재발'할 수 있는 능력은 이러한 서비스가 치매 환자와 보호자에게 필수적인 지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COVID‐19가 사회 복지 서비스 및 사회 복지 인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진행 중이고 완료된 영국의 광범위한 연구는 표 S2 에 더 자세히 요약되어 있습니다  .

 캐나다,  및 국제적으로  10  COVID‐19에 대한 국가적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여러 치매 관련 리소스 및 프로젝트가 설정되거나 조정되었습니다. 중소득 국가도 포함. 

Living Well: 치매의 생활 경험 최적화(표 6).

 

치매 환자에게 원격으로 신체적, 심리교육적, 심리사회적 개입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의 잠재력에 대한 출판 및 진행 중인 연구  Alves et al., 2020  (Ballard; Manchester Camerata Ltd, NIHR)는 보다 심각한 인지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원격 의료의 수용 가능성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입니다. 사회적 돌봄이나 친목 도모의 원격 전달에 대한 추가 연구도 중요할 것입니다. 요양원에서 치매 환자에게 제공되는 돌봄의 윤리는 두 가지 간행물에서 고려되었습니다(Care Quality Commission  ,  감소된 사회 돌봄 서비스가 치매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다루는 연구는 이전 영역 '잘 지원'에서 언급되었습니다.

진행 중인 연구에서는 팬데믹 기간 동안 신체 활동  및 치매 상태 악화  를 평가하고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포스트 코로나 증후군(Long Covid) 진단을 받거나 악화를 경험하는 치매의 영향을 받은 사람들의 재활 필요성을 조사하는 것이 중요할 것입니다. 격리 또는 의료 및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 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기타 건강 문제.

잘 죽기: 임종 시 치매 환자의 필요 사항이 충족되도록 보장(표 7).

 을 찾았 지만, COVID‐19 및 치매 환자와 관련된 완화 치료 또는 임종 치료에 대한 1차 연구는 없었습니다. 완화의료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며 치매 환자도 포함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노인의 의사결정 과정은 코로나19의 맥락에서 더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할 수 있으며, 진행 중인 영국의 두 연구에서는  시설이 있는 요양원에서 치매의 영향을 받는 사람들을 위한 사전 치료 계획 및 의사결정 도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브라질). 외, UKRI, 표 7) 및 가족 간병인.  UKRI, 테이블 7). 후자의 연구는 치매 환자와 가족 보호자가 어려운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되는 무료로 제공되는 증거 기반 결정 도구를 제작했습니다.  이러한 결정과 협의는 팬데믹 기간 동안 방문객들이 많은 병원과 요양원에 접근할 수 없게 되면서 방해를 받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 분야에 대한 정량적 연구는 부족합니다.

 와 추가 연구는 치매 환자를 위한 사전 진료 계획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토론

이 이니셔티브에서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합의 그룹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각 영역 내에서 향후 연구 방향이 있었습니다(상자 1). 개입과 지원을 제공하기 위한 원격 의료의 잠재적 이점과 위험, 장기적인 영향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의 필요성, 건강 및 기타 불평등 확대의 위험과 영향, 사회 인구통계학적으로 포괄적인 연구와 광범위한 연구 내에서 치매 관련 결과를 보고하는 이점이 있습니다.

이는 정책 및 적응 측면에서 빠르게 변화하고 급격하게 변화하는 영역으로, 이는 일반 출판 프로세스의 속도를 능가할 수 있으므로, 우리는 등록된 시스템을 포함하여 다양한 비 동료 검토 소스에서 얻은 연구 결과를 신속하게 통합하려고 노력했습니다. 진행 중인 리뷰, 사전 인쇄 데이터베이스, 코로나19 관련 웹사이트 및 보고서. 이 논문은 코로나19와 관련된 치매 연구의 여러 측면에 대한 포괄적인 범위를 제공하기 위한 문헌 검토 및 전문가 합의의 결과를 제시하며 특정 연구 질문에 의해 추진되지 않았습니다. 우리의 연구는 전통적인 체계적 또는  지정 검토로 설계되지 않았 으며 연구의 질을 공식적으로 정량화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 결과는 출판된 지침 및/또는 체계적인 비판적 평가를 따르는 프로토콜 중심 검색 전략에 비해 덜 포괄적일 수 있습니다.

합의 그룹의 구성원은 LTCcovid 협업( www.ltccovid.org ) 과 같이 코로나19와 관련된 증거를 신속하게 업데이트할 수 있는 온라인 프로젝트에 참여합니다 . 동료 검토는 연구 출판의 표준으로 남아 있지만,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와 인쇄 전 저장소는 팬데믹 기간 동안 가치 있고 시간이 중요한 리소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우리 연구의 또 다른 한계는 치매 환자의 포함을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경우 장기 요양 시설에 대한 일부 잠재적으로 관련성이 있는 연구가 생략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합의 그룹의 구성원은 그러한 연구 중 일부를 식별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본문에 설명되어 있습니다. . 개인, 가족, 보건 및 사회 복지 인력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인구 기반 연구/설문조사를 포함하여 비특이적 결과는 신중하게 해석되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Carers UK 설문조사에서는 응답자의 22%만이 (표 2 65세 이상이었고(알 수 없는 비율은 치매 가족을 부양하고 있음) 치매 치료에 대한 연구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잠재적으로 제한했습니다.

빠르게 변화하는 팬데믹의 특성과 관련된 다른 제한 사항은 이 연구에서 확인된 주제와 연구 격차가 팬데믹이 계속 전개됨에 따라 적용되지 않거나 관련성이 낮아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글을 쓰는 시점에 전문가 합의 구성원들은 여러 프로젝트가 아직 발표되지 않았거나 최근에야 자금 지원을 받았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NIHR 정책 연구 프로그램(PRP)은 다음과 같을 수 있는 추가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이러한 향후 연구는 이 문서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지 않지만 치매 웰빙 경로 내의 추가 주제를 충족하거나 연구에서 확인된 공백을 충족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NHS England Dementia Well Pathway를 기반으로 연구 결과를 구성했지만 이 프레임워크를 염두에 두고 연구를 수행하지는 않았습니다. 따라서 연구 결과는 하나 이상의 영역과 관련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연구 분류가 때로는 부정확할 수도 있습니다. 이 연구는 치매 및 코로나19 연구에 관한 영국 치매 프로그램 위원회(English Dementia Program Board)의 질문에 의해 촉발되었고 우리의 합의 그룹은 영어 기반 전문가였기 때문에 우리의 연구 결과와 합의 견해는 영국에 기반을 둔 연구에 치우쳐 있었습니다.

전반적으로, 코로나19 팬데믹은 치매 웰빙에 불균형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자와 자금 지원 기관은 그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신속하게 대응했습니다. 우리는 치매에 걸린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증거 기반 조치를 개발할 수 있도록 이러한 사항을 더 자세히 탐구하기 위한 향후 연구의 잠재적 방향을 식별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에디터 업데이트+) GPT AI 기능을 포함하여 강력한 도구들을 사용해보세요 ⬆️ file 🍀플로버404 2024.04.16 1222
공지 덕질 공통 이용규칙 및 안내 (업데이트중+ 2024-04-13) 😀컴덕824 2024.04.14 1491
공지 전문정보 pubmed 의학/약학 논문 전문사이트 file 😀건강덕441 2024.04.01 818
공지 1000P를 모으면 다이소 상품권 1000원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file Private 2024.02.14 3089
183 정보📰 흡연자와 비타민A (feat.루테인) 😀건강덕799 2024.03.17 490
182 전문정보 허약함과 우울증 장애의 양방향 연관성에 대한 6년간의 전향적 임상 코호트 연구 file 😀건강덕208 2024.04.01 795
181 정보📰 항산화/항노화 영양제들 복용 타임에 대한 생각 😀건강덕085 2023.11.23 23
180 잡담🗣️ 한약학과 너무 욕하지마라 😀건강덕743 2024.03.17 534
179 하루 먹는 영양제 😀익명744 2023.07.31 339
178 팩트체크: 비타민 B6과 B12가 진짜로 남자에게 폐암을 가져다주는가? 😀건강덕064 2023.07.31 413
177 잡담🗣️ 팩트 의약분업예외지역에서 약사는 처방을 할 수 없다ㅋㅋ file 😀건강덕830 2024.03.17 457
176 정보📰 파킨슨병의 병태생리학에서 비타민 A 대사의 역할과 메커니즘 file 😀건강덕732 2024.03.10 637
175 키는 거의 유전이다....jpg file 😀건강덕503 2023.07.31 371
174 콜라겐 고르는 팁 있어? 1 😀건강덕015 2023.09.06 460
173 컨슈머랩 증상별 영양제 (총 267페이지) 😀건강덕632 2023.08.24 343
172 정보📰 컨슈머랩 마늘 보충제 검토 😀건강덕414 2023.11.23 20
171 정보📰 컨슈머랩 (ConsumerLab) Test Result 표 😀건강덕320 2024.03.17 494
170 정보📰 컨슈머랩 (ConsumerLab) Test Result 표 😀건강덕484 2023.11.23 42
169 정보📰 커즈와일이 알려주는 언급 많이 되는 영양제 회사들 크기 참고 😀건강덕323 2024.03.17 480
168 잡담🗣️ 칼륨도 안먹으면서 무슨 영양제를 먹는다고 설치나? file 😀건강덕157 2023.11.23 19
167 전문정보 치매와 알츠하이머병의 위험 요인인 비타민 D 결핍: 업데이트된 메타 분석 file 😀건강덕434 2024.04.14 353
166 전문정보 치매에 대한 급성 병원 직원의 태도와 인지된 치매 지식: 아일랜드의 단면 조사 file 😀건강덕051 2024.04.01 752
165 전문정보 치매는 동반 질환의 영향을 넘어 사망률을 증가시킵니다: 국가 등록 기반 코호트 연구 file 😀건강덕957 2024.04.01 777
» 전문정보 치매 웰빙과 코로나19: 현재 연구 및 지식 격차에 대한 검토 및 전문가 합의 file 😀건강덕858 2024.04.01 74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